10대 품목 중 7개 악화, 중국 시장 변화 두드러져
작년 10월 이후 수출 역성장의 위기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세계시장에서 경쟁열위에 있는 교역 품목이 최근 10년래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한국의 수출 경쟁력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최근 10년간(’13~’22년) 수출 품목의 무역특화지수 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전경련이 한국무역협회 통계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수출품목(HS코드)의 무역특화지수를 분석한 결과, 한국이 수출에서 경쟁우위를 가진 수출특화 품목 수는 감소세인 반면, 경쟁열위를 가진 수입특화 품목 수는 증가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수입특화 품목은 전체 1,216개 교역품목 중 815개였으나, ’22년에는 1,221개 중 846개로 31개 늘어나면서 분석기간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대로 수출특화 품목은 동기간 401개에서 375개로 26개 감소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코로나19가 본격화된 2020년을 기점으로 심화되었다. 2019년 대비 수입특화 품목이 19개 급증(+)하고 수출특화 품목은 18개 급감(-)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전체 교역품목 중 수입특화 품목의 비중은 2019년 67.7%에서 2022년 69.3%로 1.6%p 증가했다.
전경련은 특정 품목에 대한 집중도가 높은 한국 수출구조의 특성상, 과거에는 수입특화 품목이 수출특화 상태에 있는 품목보다 많아도 수출실적이 양호할 수 있었지만, 최근 수입특화 품목의 증가세가 심화된 것은 전반적인 경쟁력 약화를 의미하기 때문에 향후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풀이했다.
수출 상위 10대 품목을 대상으로 경쟁력 변화를 살펴보면, 2013년에는 수입특화 품목이 ?석유 등 광물성연료(무역특화지수 △53.9) 1개뿐이었지만, ?광학?정밀?의료기기의 무역특화지수가 2021년부터 양수(+)에서 음수(-)로 전환되면서 수입특화 품목이 2개로 늘어났다.
나머지 8개 품목의 경우 세계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그중 절반이 넘는 5개 품목에서 무역특화지수가 감소하면서 비교우위의 정도가 약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등 전기기기(’13년 30.4→’22년 23.0), ?기계(11.1→3.3), ?자동차(74.8→55.5), ?선박(91.0→77.1), ?유기화학품(26.7→21.1)의 5개 품목에서 수출 경쟁력이 약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역특화지수가 증가하면서 경쟁력이 강화된 품목은 ?플라스틱(49.2→49.7), ?철강(4.5→19.5), ?철강제품(13.5→23.7) 3개에 그쳤다.
대중교역, 수입특화 품목 급증…10개 중 7개 이상(77.5%) 경쟁력 미흡
수입특화 품목의 증가세는 특히 우리 수출에서 가장 비중이 큰 중국을 중심으로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교역에서 무역특화지수가 음수(-)인 수입특화 품목은 2013년 전체 1,168개 중 773개로 60%대(66.2%)였으나, 2022년에는 1,185개 중 918개로 증가하였다.
이는 한국의 대중 수출품목 10개 중 7개 이상(77.5%)에서 경쟁력이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역특화지수가 양수(+)인 수출특화 품목은 동기간 395개에서 267개로 감소(△128개)하면서 전체 교역품목 대비 비중도 33.8%에서 22.5%로 10.0%p 넘게 줄어들었다.
대중 수출 품목별 무역특화지수는 상위 10대 중 9개 품목에서 경쟁력이 약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출 비중이 가장 큰 반도체 등 전기기기(’13년 29.3→’22년 12.8)를 비롯하여 ?광학?정밀?의료기기(71.9→31.7), ?유기화학품(70.7→28.2)의 무역특화지수가 절반 미만으로 감소하였고, ?플라스틱(70.8→43.0), ?석유 등 광물성연료(73.8→64.7) 등 품목도 경쟁력이 약화되었다.
기계(20.2→△17.4) 및 자동차(63.3→△41.7)는 양수(+)였던 무역특화지수가 음수(-)로 반전되면서 수출특화에서 수입특화로 전환되었고, 철강(△29.9→△30.5) 및 무기화학품(△38.2→△38.5)은 수입특화가 심화되었다. 무역특화지수가 증가하면서 비교우위가 강화된 품목은 정유.화장품(69.1→91.8)이 유일했다.
전경련은 향후 수출 확대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현재 수입 특화되어있는 품목을 수출특화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세계 수입시장의 수요가 큰 첨단제품을 중심으로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예를 들어 의약품(무역특화지수 △71.8), 항공기?우주선(△60.5), 터보제트(△54.9), ?반도체 제조용 기기(△42.6) 등은 글로벌 100대 수입 수요품이면서 첨단기술이 필요한 품목이지만, 한국은 이들 품목에 대해 무역특화지수가 마이너스(-)로 수입특화 상태에 놓여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10월 이후 수출 역성장의 위기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세계시장에서 경쟁열위에 있는 교역 품목이 최근 10년래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한국의 수출 경쟁력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최근 10년간(’13~’22년) 수출 품목의 무역특화지수 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전경련이 한국무역협회 통계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수출품목(HS코드)의 무역특화지수를 분석한 결과, 한국이 수출에서 경쟁우위를 가진 수출특화 품목 수는 감소세인 반면, 경쟁열위를 가진 수입특화 품목 수는 증가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수입특화 품목은 전체 1,216개 교역품목 중 815개였으나, ’22년에는 1,221개 중 846개로 31개 늘어나면서 분석기간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대로 수출특화 품목은 동기간 401개에서 375개로 26개 감소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코로나19가 본격화된 2020년을 기점으로 심화되었다. 2019년 대비 수입특화 품목이 19개 급증(+)하고 수출특화 품목은 18개 급감(-)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전체 교역품목 중 수입특화 품목의 비중은 2019년 67.7%에서 2022년 69.3%로 1.6%p 증가했다.
전경련은 특정 품목에 대한 집중도가 높은 한국 수출구조의 특성상, 과거에는 수입특화 품목이 수출특화 상태에 있는 품목보다 많아도 수출실적이 양호할 수 있었지만, 최근 수입특화 품목의 증가세가 심화된 것은 전반적인 경쟁력 약화를 의미하기 때문에 향후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풀이했다.
수출 상위 10대 품목을 대상으로 경쟁력 변화를 살펴보면, 2013년에는 수입특화 품목이 ?석유 등 광물성연료(무역특화지수 △53.9) 1개뿐이었지만, ?광학?정밀?의료기기의 무역특화지수가 2021년부터 양수(+)에서 음수(-)로 전환되면서 수입특화 품목이 2개로 늘어났다.
나머지 8개 품목의 경우 세계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그중 절반이 넘는 5개 품목에서 무역특화지수가 감소하면서 비교우위의 정도가 약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등 전기기기(’13년 30.4→’22년 23.0), ?기계(11.1→3.3), ?자동차(74.8→55.5), ?선박(91.0→77.1), ?유기화학품(26.7→21.1)의 5개 품목에서 수출 경쟁력이 약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역특화지수가 증가하면서 경쟁력이 강화된 품목은 ?플라스틱(49.2→49.7), ?철강(4.5→19.5), ?철강제품(13.5→23.7) 3개에 그쳤다.
대중교역, 수입특화 품목 급증…10개 중 7개 이상(77.5%) 경쟁력 미흡
수입특화 품목의 증가세는 특히 우리 수출에서 가장 비중이 큰 중국을 중심으로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교역에서 무역특화지수가 음수(-)인 수입특화 품목은 2013년 전체 1,168개 중 773개로 60%대(66.2%)였으나, 2022년에는 1,185개 중 918개로 증가하였다.
이는 한국의 대중 수출품목 10개 중 7개 이상(77.5%)에서 경쟁력이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역특화지수가 양수(+)인 수출특화 품목은 동기간 395개에서 267개로 감소(△128개)하면서 전체 교역품목 대비 비중도 33.8%에서 22.5%로 10.0%p 넘게 줄어들었다.
대중 수출 품목별 무역특화지수는 상위 10대 중 9개 품목에서 경쟁력이 약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출 비중이 가장 큰 반도체 등 전기기기(’13년 29.3→’22년 12.8)를 비롯하여 ?광학?정밀?의료기기(71.9→31.7), ?유기화학품(70.7→28.2)의 무역특화지수가 절반 미만으로 감소하였고, ?플라스틱(70.8→43.0), ?석유 등 광물성연료(73.8→64.7) 등 품목도 경쟁력이 약화되었다.
기계(20.2→△17.4) 및 자동차(63.3→△41.7)는 양수(+)였던 무역특화지수가 음수(-)로 반전되면서 수출특화에서 수입특화로 전환되었고, 철강(△29.9→△30.5) 및 무기화학품(△38.2→△38.5)은 수입특화가 심화되었다. 무역특화지수가 증가하면서 비교우위가 강화된 품목은 정유.화장품(69.1→91.8)이 유일했다.
전경련은 향후 수출 확대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현재 수입 특화되어있는 품목을 수출특화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세계 수입시장의 수요가 큰 첨단제품을 중심으로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예를 들어 의약품(무역특화지수 △71.8), 항공기?우주선(△60.5), 터보제트(△54.9), ?반도체 제조용 기기(△42.6) 등은 글로벌 100대 수입 수요품이면서 첨단기술이 필요한 품목이지만, 한국은 이들 품목에 대해 무역특화지수가 마이너스(-)로 수입특화 상태에 놓여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